Surprise Me!

[기업기상도] 코로나 넘어 해뜬 기업 vs 흐린 연휴 맞은 기업

2021-02-14 1 Dailymotion

[기업기상도] 코로나 넘어 해뜬 기업 vs 흐린 연휴 맞은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흰소의 해' 신축년이 이제 진짜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연휴 직전 지난해 코로나 고개를 잘 넘은 결과에 한껏 웃은 기업들도 있었고 크고 작은 일 터져 연휴에 마음 편치 못한 기업들도 있었는데요.<br /><br />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연휴 잘 보내셨습니까? 5인 이상 모임 금지에 가족들도 못보는 섭섭한 설이었지만 곧 코로나 고개 넘으리란 기대도 한껏 커진 연휴였는데요. 한 주 맑고 흐린 기업 찾아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먼저 게임 대장주 넥슨, 엔씨 그리고 포털공룡 카카오입니다. 비대면 호황 맞아 나란히 사상 최대 실적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작년 실적 발표철 스타는 단연 게임, 포털 같은 '비대면기업'이었습니다. 게임사 넥슨이 영업이익 1조2,000억에 게임사론 처음 매출 3조 넘었고 리니지 모바일 게임 2개로만 각 8,000억씩 번 엔씨가 매출 2조원 클럽 들었습니다. 카카오는 매출 4조 처음 넘었고 영업이익도 4,000억대로 역대 최대였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가 비대면 시대 도래에 가속페달을 밟은 겁니다. 재벌기업 리스트에 비대면 IT기업 다수 포진할 날 멀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다음은 LG화학입니다. 글로벌 화학기업 중 유일하게 브랜드 가치가 늘었다는 소식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영국의 한 글로벌 브랜드 평가사가 세계 25대 화학기업 브랜드 가치 따져봤는데요. LG화학이 4조46억원에 4위입니다. 이 자체도 3년 전의 두 배지만 코로나 1년에 가치 늘어난 곳은 톱 5 중 LG뿐이었습니다.<br /><br />동력은 실적입니다. 작년 매출 처음 30조원 넘고 영업이익은 거의 세 배 됐는데. 특히 전기차 배터리가 두드러졌죠. 올해는 분사한 배터리가 본업 석유화학보다 커진답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먼저 현대차그룹입니다. 애플카 소식에 한껏 떴다 아닌 것 같단 소식에 실망 안겼습니다.<br /><br />기아 조지아공장이 애플의 전기차, 자율주행차 생산기지된다는 뉴스까지 있었죠. 하지만 애플이 비밀 누설됐다고 판 깨고 일본서 파트너 찾는다는 보도에 이어 현대 측이 "애플과 협상 중이지 않다"고 공시했습니다. 그날 현대차, 기아, 모비스 모두 주가 쑥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최종 결론은 모릅니다만 아이폰에서 보듯, 글로벌 '슈퍼갑' 애플 앞에서 생산회사는 을이 돼야 하고 미래차 자체 개발도 못할 수 있습니다, 꼭 나쁜 소식만은 아니란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다음은 KCC그룹입니다. 위장 계열사 들통나 회장님이 고발됐는데 회장님 개인 취미도 한 몫 했습니다.<br /><br />공정거래위원회가 본인과 친인척 소유 10개사 숨겨온 정몽진 KCC 그룹 회장을 검찰에 고발했습니다. 국세청 세무조사에서 들통났다죠. 이중 정 회장 소유는 실바톤 어쿠스틱스란 회사 1곳인데요. 고가 오디오 만드는 연매출 4억대 소규모 회사입니다.<br /><br />좀 이상하시죠? 정 회장은 국내에서 고가 진공관 앰프와 스피커 등 최고급 오디오 마니아로 이름 높습니다. 개인돈으로 취미 위해 만든 소규모 회사 가볍게 생각했다 고발되다니 좀 안타깝네요.<br /><br />이번엔 포스코 보시죠. 안전 위해 일 늦추면 상준다는 회장 발표 전해진 지 닷새 만에 또 사망사고 났습니다.<br /><br />"올해 경영 최우선은 안전이다" 최정우 회장 발언이 전해진 게 지난 3일. 그런데 8일 원료부두에서 작업하던 협력사 직원이 사고로 숨졌습니다. 문제는 지난달 11일까지 거의 한 달 고용노동청이 포항제철소 감독한 결과,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이 331건 적발된 뒤 일이 터졌단 점입니다.<br /><br />숨진 직원분께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. 포스코도 회장 방침이 구두선이 되지 않게 하려면 체면 구긴 문제 말고 안전대책에 전념해야 할 겁니다.<br /><br />마지막은 SM엔터테인먼트입니다. 국세청 특별세무조사에 200억원대 세금이 추징됐습니다.<br /><br />'국세청의 칼'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 SM엔터테인먼트 조사 나섰다는 뉴스가 나온 며칠 뒤 SM이 202억원 추징됐다고 공시했습니다. 회사와 이수만 대표 프로듀서간 거래에서 법인 자금 유출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SM은 과거 소속 연예인들의 해외 활동 수입 누락 문제가 과거 세무조사에서도 문제가 된 적 있죠. 뻗어나가는 K팝 기세에 맞는 투명한 경영 기대합니다.<br /><br />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생 MZ세대가 화제입니다. 조직 내 출세보다 실익을 따지는 특성이 강하다보니 이전엔 상상도 못했던 대기업 성과급 논란을 주도해 뉴스 중심에 섰는데요. 이들을 포용하고 능력을 끌어내는 조직이라야 성장하는 시대가 왔습니다. 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